
UMPC와 차별화를 선언한 인텔 MID의 속을 한번 훑어보자 ^^

MID의 기본UI 화면

Media Player의 기본 화면

MID의 Chatting의 기본 화면

MID의 제어판 기본 화면
마이크로소프트 인텔 그리고 삼성전자 및 몇 개의 컴퓨터 회사들이 뜻을 모아 만들어내었던 UMPC가 제대로 꽃을 피우지 못한 이후, 인텔은 조금 다른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.
기존의 UMPC는 PC라는 복잡한 입력 요소들이 포함된 단말구조로는 활성화시키기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지요. 그래서 소위 단순화 시킨 모델이 MID (Mobile Internet Device)라는 제품의 샘플 화면입니다.
위의 내용들은 http://www.moblin.org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. 실제 Intel에서 Opensource 형태의 Project를 운영하면서, Intel에서 생산해 낼 UMPC, MID의 플랫폼들을 적용시키고자 열심히 개발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.
실제 위의 User Interface 환경을 보면, 상당히 단순화되어 있음을 아실 수 있으실겁니다. X86이라는 유연한 개발구조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적용할 수 있는 훌륭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 셈이지요.
UMPC에서 못다 이룬 꿈들을 MID를 통해서 휴대PC 시장의 도약을 이루어내길 기대합니다.